기초연금은 어르신들의 노후생활 안정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1988년부터 시행된 국민연금 제도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어르신들을 위해 생겨났습니다. 기초연금 자격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소득인정액인데 내 소득인정액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연금 모의계산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 소득인정액 기준 단독가구 - 169만 원, 부부가구 - 270만 4천 원 이하 (2021년 기준)
기초연금 모의계산
기초연금 모의계산은 어디까지나 참고용입니다. 이를 실제 효력이 있는 계산으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것은 본인이 모든 내용을 입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빠트리거나 거짓으로 입력할 수 있어 전혀 효력이 없는 자가진단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사이트 접속
먼저 포털사이트에서 '복지로'를 검색하여 해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그 후 상단의 메뉴 중에서 복지서비스 -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메뉴로 이동합니다.
2) 기초연금 모의계산 선택
복지서비스 모의계산에는 다양한 정책별 모의계산을 해볼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기초연금을 선택합니다.
3) 내용 입력
기초연금 모의계산은 자신이 가진 다양한 소득에 대해 입력하면 됩니다.
먼저 단독가구, 부부가구 여부를 선택한 후 거주지를 선택합니다. 거주지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별시, 광역시의 경우 대도시이고, '시'에 거주할 경우 중소도시, 도의 '군'에 거주한다면 농어촌입니다.
이번에는 소득에 대하여 입력할 차례입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 각 항목에 따라 옆에 있는 설명을 참고하셔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거짓 없이 입력하셔야 실제 기초연금을 신청했을 때 결과를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소득에 대해 입력을 마쳤다면 그 다음은 재산에 대한 입력입니다. 흔히 알고 있는 건축물, 토지 외에도 자동차나 회원권 등 다양한 재산에 관하여 입력합니다.
모두 입력했다면 결과보기를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허나 주의할 점은 이는 어디까지나 참고사항일 뿐이며 실제 기초연금 신청 시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본인이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수로 빠트리고 입력하거나 수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기초연금 모의계산은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이해를 돕기 위함이기 때문에 모의계산에서 수급자격에 알맞다고 나와도 실제로는 아무 효력이 없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수급자격 (0) | 2021.04.29 |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0) | 2021.04.28 |
속도위반 실시간 조회 (0) | 2021.04.24 |
차상위계층 기준 (0) | 2021.04.23 |
제로페이 가맹점 찾는 방법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