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기준중위소득을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기준중위소득은 매해 변경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매해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부 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기준중위소득은 항상 그해의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봐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올해 정부에서 진행하는 정책이나 지원 프로그램에 신청할 예정이라면 2021년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신청해야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1 기준중위소득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 기준중위소득
기준중위소득은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이 목적인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급여 기준에 관한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 보장 대상자는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인 가구, 의료급여는 40%, 교육급여는 50% 등 이와 같이 그해의 기준중위소득에 따라 대상의 기준이 결정됩니다.
연도별 기준중위소득 100%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1인가구 | 1,562,337 | 1,624,831 | 1,652,931 | 1,672,105 | 1,707,008 | 1,757,194 | 1,827,831 |
2인가구 | 2,660,196 | 2,766,603 | 2,814,449 | 2,847,097 | 2,906,528 | 2,991,980 | 3,088,079 |
3인가구 | 3,441,364 | 3,579,019 | 3,640,915 | 3,683,150 | 3,760,032 | 3,870,577 | 3,983,950 |
4인가구 | 4,222,533 | 4,391,434 | 4,467,380 | 4,519,202 | 4,613,536 | 4,749,174 | 4,876,290 |
5인가구 | 5,003,702 | 5,203,849 | 5,293,845 | 5,355,254 | 5,467,040 | 5,627,771 | 5,757,373 |
6인가구 | 5,784,870 | 6,016,265 | 6,120,311 | 6,191,307 | 6,320,544 | 6,506,368 | 6,628,603 |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상승하고 있으며 올해도 작년에 비해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상승률을 보면 2016~2019년까지는 1인가구 기준으로 2~3만원 정도 올랐으나 작년과 올해는 약 5~6만원 정도 상승하여 변동폭이 전에 비해 좀 있는 편입니다.
2021 기준중위소득
그렇다면 올해의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각 퍼센트마다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
150% | 2,741,747 | 4,632,119 | 5,975,925 | 7,314,435 | 8,636,060 | 9,942,905 |
120% | 2,193,397 | 3,705,695 | 4,780,740 | 5,851,548 | 6,908,848 | 7,954,324 |
100% | 1,827,831 | 3,088,079 | 3,983,950 | 4,876,290 | 5,757,373 | 6,628,603 |
85% | 1,553,656 | 2,624,867 | 3,386,358 | 4,144,847 | 4,893,767 | 5,634,313 |
80% | 1,462,265 | 2,470,463 | 3,187,160 | 3,901,032 | 4,605,898 | 5,302,882 |
75% | 1,370,873 | 2,316,059 | 2,987,963 | 3,657,218 | 4,318,030 | 4,971,452 |
70% (기초연금) |
1,279,482 | 2,161,655 | 2,788,765 | 3,413,403 | 4,030,161 | 4,640,022 |
50% (교육급여) |
913,916 | 1,544,040 | 1,991,975 | 2,438,145 | 2,878,687 | 3,314,302 |
45% (주거급여) |
822,524 | 1,389,636 | 1,792,778 | 2,194,331 | 2,590,818 | 2,982,871 |
40% (의료급여) |
731,132 | 1,235,232 | 1,593,580 | 1,950,516 | 2,302,949 | 2,651,441 |
30% (생계급여) |
548,349 | 926,424 | 1,195,185 | 1,462,887 | 1,727,212 | 1,988,581 |
해당 표를 보시고 본인이 확인하고자 하는 가구 인수 별 기준중위소득을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